백내장은 사물이 안개가 낀 것처럼 뿌옇게 보이기 시작하는 대표적인 안과 질환입니다. 사람의 눈 속에는 카메라 렌즈처럼 투명한 수정체가 들어 있으며, 이 수정체는 우리가 사물을 선명하게 보기 위해 초점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그러나 이 투명한 수정체가 나이가 들면서 점차 흐려지거나 탁해지면, 시야가 흐릿하게 변하는 백내장이 발생하게 됩니다.
대체로 60세 이상 인구의 약 70%, 70세 이상 인구의 약 90%가 백내장을 어느 정도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.
원인
백내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
- 노인성 백내장: 노화로 인해 자연스럽게 발생
- 선천성 백내장: 산모의 풍진 감염, 유전적 요인 등으로 태어날 때부터 발생
그 외 원인:
- 외상
- 당뇨병
- 포도막염
- 피부 질환
- 자외선 과다 노출
- 스테로이드 계열 약물의 장기 복용
- 비타민 E 결핍
- 과도한 흡연 및 음주
증상
- 시야가 흐리거나 뿌옇게 보임
- 눈부심, 밝은 빛에 민감
- 어두운 곳에서 더 잘 보이기도 함
- 물체가 겹쳐 보이는 단안 복시
- 색감이 탁하거나 흐려짐
- 일시적으로 작은 글씨가 더 잘 보이게 되는 현상
소아의 선천성 백내장 증상:
- 한곳을 주시하지 못함
- 불빛을 잘 따라가지 못함
- 눈동자가 떨리거나 눈을 찡그림
진단
백내장은 산동 후 세극등 현미경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, 혼탁의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:
- 전낭하 백내장: 수정체 앞쪽의 혼탁
- 핵경화 백내장: 수정체 중심부(핵)의 혼탁
- 후낭하 백내장: 수정체 뒤쪽 후낭 바로 앞의 혼탁
치료
초기에는 경과 관찰만으로 충분하지만, 증상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경우 수술이 필요합니다.
① 백내장 수술 방법
작은 절개를 통해 초음파 기구로 수정체를 제거하고, 인공 수정체(IOL)를 삽입합니다. 인공 수정체는 개인의 시력 상태에 맞춰 도수를 조절할 수 있어 맞춤형 시력 교정이 가능합니다.
② 수술 후 치료 및 회복
- 1~4주간 항생제 및 항염증 점안약 사용
- 운동 및 먼지 많은 환경 피하기
- 수면 시 보호 안대 착용 권장
- 4~6주 후 새로운 안경 착용 시 시력 개선 가능
-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시력 회복이 늦어질 수 있음
치료 후
백내장은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진행되며, 초기에는 특별한 치료 없이 지낼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증상이 심해지면 수술을 통해 시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.
과거에는 수정체 제거 후 두꺼운 안경을 착용해야 했지만, 현재는 인공 수정체 삽입으로 보다 자연스러운 시력 회복이 가능합니다. 대부분의 인공 수정체는 평생 사용할 수 있으며, 교체가 필요 없는 안전한 방법입니다.
정기적인 안과 검진과 건강한 생활 습관으로 백내장을 조기에 발견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습니다.